티스토리 뷰

국내이슈

조선 철종에 대해

해브머니 2020. 12. 15. 23:31
반응형

철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음력 6월 9일)~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이자 대한제국 추존 황제이다.

사도세자의 3남인 은언군의 서손자이자 전계대원군 이광의 셋째 아들이다. 한성부에서 태어났으나 은언군과 상계군 사건과 이복형 원경의 옥사로 교동도와 강화도로 유배지가 옮겨진 뒤 왕족으로서의 예우를 박탈당하고 평민처럼 생활하였다. 이후 농업과 나무꾼, 행상으로 살던 중 순원왕후의 명으로 덕완군에 봉해진 뒤, 종숙부 순조의 양자 자격으로 왕위를 이었다.

초명은 이원범(李元範), 휘는 이변(李昪),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도승(道升), 별칭은 강화도령, 호는 대용재(大勇齋)이며, 사후 시호는 철종희륜정극수덕순성문현무성헌인영효대왕(哲宗熙倫正極粹德純聖文顯武成獻仁英孝大王)이며 이후 대한제국이 성립된 1908년(융희 1년)에 장황제(章皇帝)로 추존되어 정식 시호는 철종희륜정극수덕순성흠명광도돈원창 화문현무성헌인영효장황제(哲宗熙倫正極粹德純聖欽明光道敦元彰化文顯武成獻仁英孝章皇帝)이다.

1858년 그에게는 유일한 적장자 이융준이 태어났지만 6개월 만에 사망하였고 후궁들에게서 얻은 아들들 또한 영아기에 사망하였다. 자녀 중 유일하게 혼례를 치른 영혜 옹주 또한 14세에 사망하여 그의 후손은 단절되었다.

 

생애 초반

출생과 가계
철종은 1831년(순조 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한성부 향교동(鄕校洞) 경행방(慶幸坊) 사제(私第)에서 정조의 이복동생 은언군 이인(李裀)의 서자인 전계대원군 이광(李壙)의 서자이자 셋째 아들이며, 용성부대부인 염 씨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본명은 원범이었으며, 변이라는 이름은 그가 왕위에 즉위한 후에 개명한 것이다. 상계군 사건과 송 마리아, 신 마리아 사건의 영향과 은언군의 서자라는 점 때문에 생부 이광은 왕족으로 작위를 받지 못한 채 지난날 한때 교동도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강화도에서 빈농으로 생활하다가 만년에 석방되어 한성으로 오게 되었다. 아버지 이광은 본부인 최 씨에게서 아들 회평군으로 추봉 된 원경을 낳았고 첩실인 염 씨에게서 원범을 얻었다. 1844년(헌종 10) 이복형 회평군(懷平君) 이명(李明)의 옥사로 인해 일가가 교동도(喬桐)로 유배되었다가 곧 강화도로 옮겨졌으며, 기본적인 왕족의 지위를 누리지 못하고 살았다.

사도세자의 서자였던 은언군은 홍국영이 상계군을 정조의 후사로 추대하려던 사건과, 정조 사후 부인 송씨와 며느리인 신 씨가 천주교를 비밀리에 신봉하던 것이 적발되어 강화도로 유배되었다가 사사당한다.(은언군과 상계군 사건) 이후 순조는 이복동생 은언군을 살리려고 노력한 아버지 정조의 유지를 받아들여 은언군의 자녀들을 석방시키려 노력한다. 1817년 순조는 강화도 안에서 은언군 아들들의 집을 지어주는데 노론 대신들의 반발을 묵살하고 순조는 석방이 아니니 번거롭게 굴지 말라면서 넘어간다.

1822년(순조 22)에는 위리안치형에서 형을 감형하여 은언군의 자식들의 집 주위의 가시울타리를 거두고, 혼인도 하게 해 주어 일반 백성들처럼 살 수 있게 하는 조치를 내린다. 언제나 그렇듯 이번에도 반대 상소가 올라왔지만, 순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830년 은언군의 자손들을 강화도에서 방면, 철종은 1831년 한성 경행 방 사제에서 출생할 수 있었다. 행장에 의하면 1834년 4살 되던 해에 주흥사(周興嗣)가 지은 주흥사 천자문(千字文)을 읽었으며, 기억력이 능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이후 더 이상의 학문을 수학할 수 있는 형편이 못되었다. 1836년(헌종 2) 남응중 역모 사건로 인해 그의 일족은 다시 강화도로 또 유배당하게 된다.

 

 

 

강화도 유배생활
이후 이주한 철종의 가족은 강화도에 살았는데, 철종의 잠저는 현재 강화군 강화읍 동문안길21번길 16-1(관청리 441번지)에 있다. 원래는 초가였으나, 철종 4년(1853)에 강화유수 정기세가 현재와 같은 기와집을 세우고 용흥궁이라 하였다. 그의 일가는 부임해오는 강화부 유수의 감시 및 주민들의 멸시를 당하기도 했다. 철종실록의 철종 행장에 의하면 그가 강화도에 있을 당시, 한 번은 그가 살던 동리에 완악하고 패려 한 자가 술에 취해 그의 집 문밖에서 소란을 부리며 오만한 말과 모욕을 가했지만, 후일 그가 왕위에 오른 후에도 그를 문제 삼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강화부 유수로 부임한 어떤 유수가 방어 및 지킴(방수)을 목적으로 그의 일가를 감시하는 것이 너무 가혹하므로 집사람들이 이를 고통스럽게 여겼지만, 왕위에 오른 철종은 그 유수를 오히려 승정원 승지에 임명하였다 한다.

 

 

치세

 
즉위
1849년 (헌종 15년) 6월 6일을 기하여 네 살 많은 7촌 조카 헌종이 23세의 젊은 나이로 후사 없이 죽자 강화도를 방문한 신하들을 따라 입궐, 순조의 왕비 순원왕후의 명으로 궁중에 들어가 음력 6월 8일 덕완군(德完君)에 봉해지고 그 이튿날인 음력 6월 9일, 창덕궁의 인정문에서 19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이는 조선 왕조 왕위 계승의 기본적인 관례조차 무시한 행위였다. 철종은 헌종의 아버지인 익종과 같은 항렬이었다.

철종은 안동 김씨들의 권력에 휘둘려 관리 한 사람을 뽑는 데에도 스스로 결정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그의 할아버지 은언군은 사도세자의 서자였고, 아버지 전계대원군은 은언군의 서자였다. 서자의 손자인 서출인 데다가 본인도 서자였고, 강화도에서 나무꾼으로 있다가 왕이 되었다 하여 그의 재위 기간 중 사대부가에서는 그를 강화도령이라 조롱하였고 이는 곧 그의 별명이 되기도 한다. 조정에서는 장형을 가하고 범칙금을 부과하였으나 사대부와 일반 백성들까지도 서자, 서출, 강화도령이라며 그를 조롱, 비하하는 발언을 암암리에 계속하였다.

즉위 초반과 섭정
철종은 5촌 당숙인 순조의 양자 자격으로 왕위에 올랐는데 즉위 직후 순원왕후가 수렴청정을 하였고, 사실상 실권은 안동 김씨에게 있었다. 1851년(철종 2년) 김조순(金祖淳)의 7촌 조카인 김문근(金汶根)의 딸을 왕비(철인왕후)로 맞아들였다. 이로써 순조, 헌종, 철종 세 임금의 중전이 안동 김 씨 가문에서 나오게 되었다. 그래서 우스갯소리로 중궁전(대비마마가 사시는 곳)은 안동 김 씨의 소유이다는 말까지 나오기도 하였다. 그러하여 김문근을 위시한 안동 김 씨의 세도 정치가 계속되었다.

학문적인 소양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정사는 세도가들에 의해 처리되었고, 철종 자신도 스스로 이것을 인식하고 술과 궁녀를 가까이 하면서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못하였다. 그러하여 사사로운 인맥으로 매관매직(관직을 사고 팜)으로 관직에 오르게 된 어느 시골의 관리가 한성에 입경한 뒤에도 국왕인 철종을 알아보지 못하고 자신이 군수에 임명되었다고 그의 앞에서 오만 방자하게 자랑하기도 했다고 한다.

친정
철종은 1852년부터 친정을 시작하였으나 이때도 역시 실권은 안동 김씨세력들에게 있었다. 그러나 그는 1859년 관리들의 부정 비리를 지적하는 등 비교적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였다. 1861년에는 중신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훈련도감 소속의 마 보군(馬步軍)과 별기군(別技軍)의 군사를 이용하여 궁궐 숙위 강화를 시도하였다. 그럼에도 안동 김 씨 세력의 세도가 강하여 그는 자신의 뜻을 제대로 펼칠 수 없었다.

그러나 세도정치의 폐단으로 인해 기존의 조선 통치기강이 무너지고 삼정의 문란은 더욱 심해져 민중의 생활은 피폐해져 갔으며, 결국 1862년 진주 민란을 시발점으로 하여 삼남지방을 중심으로 곳곳에서 농민항쟁이 일어났는데 이를 임술 농민 봉기라 총칭한다. 철종은 봉기 발생 지역의 수령과 관속을 처벌하여 흐트러진 기강을 확립하고, 농민의 요구 조건을 일부 수용함으로써 민심을 수습하려고 하였다.

농민 봉기가 잠시 가라앉은 1862년 5월 이후에는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을 설치하여 삼정의 개혁을 공포하고 재야 유생층과 관료들에게 개혁책을 모집하였다. 이때 발표한 삼정 이정 책은 주로 삼정의 문란을 개선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며, 각종 부가세를 혁파하고 도결(都結)이나 방결(防結)을 폐지하였으며, 환곡의 경우 토지세로 전환시키는 등 조세개혁의 원칙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후속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가운데 지배층의 이해관계가 얽혀 삼정 이정 책은 시행되지 못했다.

한편 1860년 경주 지방의 잔반인 최제우가 만든 신흥 종교인 동학이 창시되어 새로운 세력으로 확대되자 조정에서는 이를 탄압하고 교주인 최제우를 '혹세무민'(惑世誣民)의 죄목으로 처형하였다. 천주교 또한 민중 속에서 계속 유행하고 있었으며, 조정에서는 이 또한 탄압하였다.

철종 조에는 안동 김씨 세력이 세도정치를 행하고 있었으므로, 조선의 조정은 천주교에 대해 관대하였다.


최후


1862년부터 철종은 줄곧 병석에 누워 있었고, 누워있거나 의원의 어배진(임금의 진찰)을 보면서 겨우겨우 정무를 결재하였다. 철종은 자신의 권력을 지지해줄 남인들이 집권층인 노론 벽파의 천주교 탄압으로 숙청당하고 아무런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군수로 천거된 북청군의 물장수는 "내가 북청 군수로 임명된 아무개이니 상감 마마님 잘 부탁합니다레."라고 말하여 조정이 소란해졌지만, 철종은 오히려 깎듯이 하지 않은 그 인사의 순진함을 보고 초심을 잃지 말라며 다독였다 한다. 이는 유주현이나 김동인의 시대에까지 전해져 유주현과 김동인의 소설에도 인용되었다. 원래 몸이 병약한 데다가 그 자신도 안동 김 씨의 세도 정치 속에서 자신의 뜻을 마음대로 펼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주색을 가까이하여 건강이 점점 나빠지다가 1861년 이후로는 거의 병석에 눕다시피 했다.

그는 조정에서 연회를 볼 때나, 후궁, 기녀들과 만찬, 음주할 때에도 뻐꾸기 소리를 들으면 달려나가 슬피 눈물을 흘리는 일이 종종 있었다 한다. 이를 두고 매천 황현은 철종을 가리켜 '철종은 선천적으로 연약하고 아둔하였다.'라고 조롱하기도 했다.

그가 일어날 가망이 없다고 본 흥선대원군은 이 무렵부터 자신의 서녀를 통해 사돈 이호준, 이호준의 정실 사위 조성하, 조성하의 종형제 조영하 등을 통해 암암리에 조대비와 은밀히 물밑 교섭을 시도하여 다음 왕위 계승권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1864년 1월 16일 (1863년 음력 12월 8일) 재위 14년 만에 창덕궁의 대조전(大造殿)에서 승하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 33세였다. 철종 역시 후사가 없이 사망하였으므로 후사는 족보상 7촌 조카뻘이자 흥선군의 둘째 아들인 이명복 (훗날의 고종) 이 계승하였다. 철종의 죽음으로 효종의 실제 직계 남자 후손은 완전히 단절되었다. 남연군(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은 효종의 동생 인평대군의 종손으로 은신 군에게 양자로 입적되었다.

사후


묘호는 철종으로, 슬기롭고 명석하다는 의미이다. 시호는 '희륜정극수덕순성문현무성헌인영효대왕'(熙倫正極粹德純聖文顯武成獻仁英孝大王)이며 청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 왕(忠敬王)이나, 청나라와의 외교 이외에는 사용치 않았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에 있는 예릉이다.

1903년(고종 광무 7년)에 청안군 이재순에 의해 고향 생가가 중건하였다. 그의 생가는 대한민국에 와서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20호로 지정되었다.

대한제국 수립 이후 장조, 정조, 순조, 익종이 황제로 추존되면서 그에게도 황제로 추존해야 된다는 여론이 나타나 1908년(융희 2년) 순종에 의해 황제로 추존되어 장황제(章皇帝)가 되었다.

 

철종은 자신의 신분을 잊은 채 살아가던 평범한 백성이었다. 그래서인지 철종의 이야기는 극적인 드라마 소재로 많이 쓰이는 듯하다. 예전에 방영되었던 궁S도 철종의 절절한 사랑이야기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드라마이다. 강화도에서 나무꾼을 하던 철종은 양순이라는 하층계급 여인과 결혼을 생각할 만큼 가까운 사이었다고 한다.

역사적으로 철종과 양순의 사랑은 비극으로 마무리됐다. 천한 신분의 양순은 궁에 들어간들 무수리 정도밖에 할 수 없는 처지라 철종의 후궁이 되는 게 불가능했다. 양순에 대한 상사병으로 괴로워하는 철종을 보다 못한 조선 왕실은 몰래 사람을 보내 양순을 독살했다. 나중에 이를 안 철종은 비탄에 잠겨 국사도 멀리한 채 황음의 나날을 보냈다고 한다. 가장 높은 자리에 있던 분임에도 불구하고 왕으로서의 정치적 능력이나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지 못하는 남자의 모습 그 어느 하나 본인이 원하는 대로 할 수 없었던 비운의 인물이다. 최근 철종 와 철인왕후에 대한 드라마가 방영되고 있는데 드라마에서는 본인이 원하는 대로 뜻을 펼칠 수 있기를 바란다.

728x90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