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혀 부쳐 붙여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법은?
붙이다(O)
붙히다(X)
붙여주다(O)
붙혀주다(X)
발음이 같아서 헷갈리는 붙혀 와 붙여
부쳐 까지는 없겠죠?!
기본적의미는 "꽉 달라붙어 떨어지지않게 하다"
- 구글 단어사전
붙이다
발음 : /부치-/
동사
-
1.
`붙다'의 사동사.
"편지 봉투에 우표를 붙이다"
-
2.
사람이 상대에게 말을 하여 어떤 대화가 이뤄지게 하다. 걸다.
"처음 보는 여자에게 말을 붙이려니 망설여진다"
예시)
1.세 번째 말을 붙이다.
2.두 회사를 경쟁을 붙이다
3.옆 사람에게 농담을 붙이다.
4.앞날에 대한 희망을 붙이다.
붙히다라는 단어는 단어 자체가 없지만!
발음이 비슷한 붙이다 VS 부치다
'부치다'와 '붙이다'는 의미에 따라 구별해야 하는 말입니다. '붙이다'는 '붙다'에 사동의 의미를 더하는 파생접사 '-이-'가 결합한 단어입니다. '부치다' 역시 역사적으로는 '붙이다'와 어원이 같습니다. 그렇지만 '붙이다'는 '붙다'의 의미가 살아 있고 '부치다'는 그렇지 않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제22 항 '다만' 조항에서는 동사 어간에 '-이-'가 붙어 이루어진 단어는 원칙적으로 구별하여 적지만 '드리다, 바치다' 등과 같이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붙다'의 의미가 살아 있으면 '붙이다'로 적고, 그렇지 않으면 '부치다'로 적습니다.
(1) ㄱ. 이 일은 힘에 부치는 일이다.
ㄴ. 소포를 부치다.
ㄷ. 이 문제는 회의에 부치도록 하자.
ㄹ. 원고를 인쇄에 부쳤다.
(2) ㄱ. 봉투에 우표를 붙였다.
ㄴ. 담배에 불을 붙였다.
ㄷ. 자꾸 이러저러한 조건을 붙인다.
ㄹ. 이 땅에 뿌리를 붙이고 살아가는 식물.
봉투에 우표를 붙이고 소포를 부치다.
영어로는 attach 붙이다, 첨부하다
Attach the coupon to the front of your letter.
편지 앞면에 쿠폰을 붙이시오.